신주소(도로명 주소) 체계

도로명을 중심으로 표기되는 새로운 주소 체계가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의무화되어 시행됩니다. 잘쓰고 있는 지번 주소를 왜 버리고 도로명 주소를 쓰느냐라고 불평할 수 있도 있으나 지금 세대가 아닌 미래의 후손을 위한 것이므로 긍정적으로 생각됩니다.

이 글은 개발자로써 바라본 신주소 체계에 대한 정리입니다. 이를 정리한 이유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입력한 신주소에 대해서 부분(Part) 별로 분리해 내기 위해서, 먼저 신주소 체계를 이해하고 각 부분을 분리해 내기 위해서 필요한 각 부분의 규칙성을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먼저 신주소는 다음과 같은 최대 7개로 구분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들에 대해서 각기 갖는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 부분은 ‘시’, ‘도’로 끝납니다. 그리고 축약된 형태가 많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서 서울특별시의 경우 서울로, 전라북도를 전북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부분은 모두 한글로 구성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 부분은 ‘시’, ‘군’, ‘구’로 끝납니다. 2개의 단어로 구성된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서 ‘수원시 영통구’와 ‘전주시 덕진구’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2개의 단어로 구성되는 경우 2번째 단어는 ‘구’로 끝나게 됩니다. 이 부분은 모두 한글로 구성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 부분은 ‘읍’, ‘면’으로 끝납니다. 한글로만 구성됩니다. 새주소에서는 이 부분이 자주 생략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 부분은 ‘로’, ‘길’로 끝납니다. 숫자와 한글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 부분은 건물의 번호로써, 본번만 있을 경우 숫자로만 구성됩니다. 부번이 있을 경우 본번과 부번의 구분을 위해 ‘-‘가 사용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 부분은 건물 번호 다음에 위치하므로 반드시 숫자 다음에 명시됩니다. 건물 번호와 구분을 위해 ‘,’가 사용되지만 입력자의 부주의로 인해 생략되기도 합니다. 건물의 ‘동’, ‘호’, ‘층’에 대한 내용이 옵니다. 한글, 영문, 숫자 등 다양하게 기재될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의 정확한 구분을 위해 ‘동’, ‘호’, ‘층’으로 명시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 부분은 중가로 열기 ‘(‘로 시작하여 중가로 닫기 ‘(‘로 끝납니다. 자주 변경되는 행정동이 아닌 법정동과 해당 주소의 건물이 공동 주택일 경우 공동주택명이 나타납니다. 법정동과 공동주택명 모두가 표시될때는 ‘,’로 구분됩니다.

“신주소(도로명 주소) 체계”에 대한 2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