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SHP을 SQL 문으로 변환해 주는 툴 – SHP2SQL

SHP 파일의 좌표 정보와 속성 정보를 DBMS에 테이블 구조를 생성하고 값을 추가하는데 필요한 SQL문을 생성해 주는 툴입니다. 현재는 포인트 타입에 대한 SHP 파일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실행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UI 화면에서 Export Fields에 DBMS로 내보내고자 하는 필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필요없는 필드값에 대해서도 제외시켜도 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해서 DBMS에 따라 필드명으로써 사용할 수 없는 필드는 이곳을 통해 제외시켜줄 수 도 있습니다.. 위의 화면 예시처럼 입력값들을 지정한 후 변환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은 sql 문이 담긴 텍스트 파일이 만들어 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테이블에 속성값을 추가하기 위한 Ansi SQL 구문으로 구성됩니다.. 이 내용을 수정해 줄 필요(테이블명)도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SQL 파일을 각 DBMS에서 불러와 실행해주면 간단하게 DBMS에 SHP 파일에 대한 테이블이 생성됩니다.. MySQL의 경우 soruce 명령어를 이용해서 외부의 sql 문이 담긴 파일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툴의 실행을 위해서는 최신 버전의 듀라맵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다음 url을 통해 듀라맵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gisdeveloper.co.kr/notice/574

소스 코드와 컴파일된 실행 파일 모두를 제공해 드리니.. 개발자 분이라면 목적에 맞게 커스터마징해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위에서 만들어진 sql 구문이 담긴 text 파일을 MySQL에서 실행시켜 만들어진 테이블을 조회해 본 화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이미지를 보시면.. X, Y 필드명으로 POI의 좌표가 자동으로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S] 구글맵의 타일맵의 크기

정확히 말씀드리면.. 아이폰에서 구글맵에서 서비스 되는 타일맵의 크기입니다. 블로그의 방문자분 중 모바일폰의 지도 서비스에서 타일맵의 트래픽 관련 댓글을 보고.. 혹시나 해서 제가 가지고 있는 아이폰으로 요래 저래 단순하지만 확실한 방법으로 ^^; 타일맵의 크기를 찾아봤습니다. 아래는 그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얻은 캡쳐 화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는 처음에 64×64 크기의 타일맵을 사용할거라 예상했더랬습니다.. 아이폰의 픽셀 화소 크기가 일반 LCD 모니터의 화소 크기보다 미려해서.. 이런 판단을 하게 되었나 봅니다만.. 여튼.. 이번에 모바일쪽에서 서비스할 지도를 타일로 가공하는 작업을 눈앞에 두고 있던 차에.. 이제 타일맵의 크기를 128×128로 가공하도록 방향을 바꿔야 겠습니다..

끝으로.. 제가 가지고 있는 아이폰3의 화면 크기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480×360인데.. 이 화면 크기면.. 위의 캡쳐 이미지 처럼 타일 이미지의 개수가 최소 9개면 충분하다는 결론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가 이의 4배정도 되므로.. 곰곰히 생각해 보면.. 모바일 폰이든.. 일반 데스크탑에서든.. 타일맵의 크기를 공통적으로 256×256으로 하는 것도 별 무리는 없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타일맵 가공이 생각외로 상당히 시간이 많이 걸리고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인지라.. 타일맵의 크기를 최대한 키워서 파일 개수를 최소로 줄여 작업하는게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요즘… 에어컨으로 인해.. 실내의 온도차이와 실외의 온도 차이가 너무 극심한것같습니다.. 실내에서 정신없이 작업하다가 잠시 밖에 볼일 보러 나갈라치면… 한마디로 쪈다는.. 쪈다는 표현이 딱이네요.. 쪕니다 쪌어요.. -_-; 극심한 온도차이로 생체리듬도 다소 흐트려진 요즘입니다.. 그래도 긴박한 요즘.. 정신 바짝 차려야하다는 생각으로 버텨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