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환타입이 다르게 가상함수 재정의할 수 있는가?

코딩중 궁금하여 Test 해본 코드이다. 순수가상함수가 있다고 할때 이를 속상받는 클래스에서 순수가상함수를 재정의할때 반환타입을 다르게 할 수 있는가라는 스스로의 질문에 대한 정리이다.

기본적으로 Base가 되는 클래스 둘이 있는데 아래와 같다.

class ReturnType {
protected:
	int x;
public:
	ReturnType(int x) {
		this->x = x;
	}

	virtual int GetValue() {
		return x;
	}
};

class Base {
public:
	virtual ReturnType* Get(int a, int b) = 0;
};

클래스 Base는 Get이라는 순수가상함수를 가지고 있고 반환값으로 ReturnType을 갖는다. 여기서 따져보고 싶은 것은 Base의 Get이라는 순수가상함수의 반환 Type을 다르게 하여 선언할 수 있냐는 것이다. 대답은 “않된다”이지만 반환 Type도 OO의 다형성을 활용해서 다르게 선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를 보자.

class ReturnType2 : public ReturnType {
public:
	ReturnType2(int x) : ReturnType(x) {
	}

	virtual int GetValue() {
		return x*x;
	}
};

class Derive1 : public Base {
public:
	virtual ReturnType2* Get(int a, int b) {
		ReturnType2* pRT = new ReturnType2(a+b);
		return pRT;
	}
};

class Derive2 : public Base {
public:
	virtual ReturnType* Get(int a, int b) {
		ReturnType* pRT = new ReturnType(a*2+b*2);
		return pRT;
	}
};

ReturnType으로부터 상속받은 ReturnType2 클래스가 있으며 Base로부터 상속받은 Derive1과 Derive2가 있다. 분명한것은 GetValue라는 순수가상함수의 반환타입이 상속받은 Base와 다르다는 점이다. 하지만 완전이 다른것은 아니고 반환타입이 상속관계를 갖는다. 이런 상속관계가 반환타입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내 코드는 걸레다, 개선을 위한 강한 자극이 필요하다.

문득.. 내 코드가 걸레로 보인다. 기분 탓일 수도 있겠지만.. 예전에 오픈소스로 공개한 코드를 살펴봤을때의 그런 일목요연하고 간결하며 체계적인 느낌이… 내가 작성한 코드에서는 느껴지지 않는다.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일까… 어쩌면 요즘 넘쳐대는 버그로 인해, 아직은 그 원인을 알지 못하는 이유로.. 코드가 전반적으로 꼬여있다라는 선입견 때문일까…

요즘에는 C++에 대한 감이 많이 상실된 느낌이다. 매일같이 사용하는 언어인데 말이다. 매일같이 바쁘게 사용하다보니, 늘 쓰는 것만 쓰게된다. 분명 어디선가 더 좋은 문법과 구문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비효율적이기는 하지만, 그냥 전에 썼던 방식대로 해 나간다. 그러다보니 전에 알고 있던 중요한 문법과 구문도 쓰지 않으니 기억속에서 희미하게 잊혀져간다.

정도(옳바른 길)을 걷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먼가 자극이 필요하다. 배움이 필요하다. 정도(옳바른 길)로 가는 깨닭음이 절실히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