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터미널 모니터 사용 정리

이 문서는 MySQL을 설치하면 제공되는 터미널 모니터의 사용법을 간단히 정리한 것입니다. 가장 먼저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c:\>mysql -h localhost -u root -p
Enter password: ******

쉘에서 mysql 명령을 통해 인자 -h에는 호스트(여기서는 localhost를 지정했으며 로컬일때는 생략이 가능)를 제공하며 -u에는 사용자의 ID(여기서는 root)를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p 옵션을 주어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패스워드를 올바르게 입력하고 모든 것이 성공하면 위의 그림처럼 mysql>가 뜨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참고로 연결을 끊는 방법은 quit 명령을 내려 종료할 수 있습니다.

시험 삼아 다음 명령을 내려 MySQL의 기능을 테스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ELECT VERSION(), CURRENT_DATE;
SELECT SIN(PI()/4), (4+1)*4;
SELECT NOW();

이 세 명령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가로 명령어 입력 도중에 취소를 하고자 한다면 \c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됩니다. 정리하면 명령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며 끝은 반드시 ; 으로 끝나야 합니다.

이제 다음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명령입니다.

CREATE DATABASE XrGeoDatabase

지금까지 생성되어진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을 살펴보는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SHOW DATABASES;

이 데이터베이스 중에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USE XrGeoDatabase;

아래는 위에서 새롭게 보인 세개의 명령을 순차적으로 내려 MySQL에서 처리된 결과 화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명령으로써 삭제에 대한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DROP DATABASE XrGeoDatabase;

이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했고 이 선택한 데이터베이스 안에 테이블을 생성하는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CREATE TABLE tablename (
    column_name1 INT,
    column_name2 VARCHAR(15),
    column_name3 INT );

테이블이 잘 생성되었는지 선택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목록을 살펴보는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SHOW TABLES;

특정 테이블에 대한 테이블 스키마를 살펴보는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EXPLAIN tablename;

아래의 그림은 위의 세가지 명령을 순서대로 수행한 것에 대한 화면의 결과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테이블의 이름을 변경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RENAME TABLE tablename TO other_tablename;

그리고 필요하지 않은 테이블을 삭제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DROP TABLE tablename;

MySQL은 사용자가 작업하는 과정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status 명령을 제공합니다. 또한 명령 처리에 대해 오류나 경고가 발생할 경우 그 메세지를 다시 보기 위해 show errors와 show warnings 명령을 제공합니다.

이외에 데이터를 쿼리하고 레코드를 추가하고 변경하는 등의 SQL문에 대해 간단한 예를 통해 보이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테이블로부터 지정한 필드들에 대한 값을 쿼리하는 명령

SELECT col1, col2 FROM tablename;

레코드를 추가하는 명령

INSERT INTO tablename VALUES (value1, value2);

조건에 맞는 레코드의 값을 변경하는 명령

UPDATE tablename SET col1=newValue WHERE col2=value;

레코드를 삭제하는 명령

DELETE FROM tablename WHERE col2=value;

구글로 받은 항공우편 AdSense 계정정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몇년전에 시작했던 구글의 에드센스를 다시 재개했습니다. 예전 계정을 이용해 3년만에 다시 시작을 하려니 무슨 PIN 번호를 입력하라고 하더군요. 입력을 하지 않으니 공익광고만 뜨구요. 해서 신청을 했더랬습니다.

한 10일 조금 넘으니 사무실에 도착해 있더군요. 퇴근길에 우편함에서 발견했는데.. 다시 곧장 사무실에 들려 PIN 입력했더랬습니다. 그런데 여전이 공익광고… -_-;

오늘 아침에 출근해 보니 공익광고가 더 이상 뜨지 않네요. 아.. 좋습니다. 요즘 여러가지로 제정부담을 줄일 목적으로 다시 시작한 구글 에드센스. 최소한 블로그 유지비는 나올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하튼… 이렇게 미국으로부터 항국우편을 받으니.. 국가가의 경계가 부담스럽지 않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가끔 와이프가 회사에서 외국 고객들에게 보낼 글귀를 영작해 달라고 압박을 넣습니다. 개발자가 열심히 코딩하고 있는데 갑작이 문서 작업 시킬때의 상황인거죠.. -_-a

영작을 잘하는 것은 아니지만, 뭐.. 의미만 통하면 되지 않겠냐라는 마음으로 작성해 보내줍니다. 사실… 인터넷상에서 도움을 받을 만한 수단은 총동원해서 최대한 문법에 맞게 작성해서 보내주려 노력합니다만… 수십차례 이렇게 와이프에게 도움을 줬음에도 별탈이 없이 계속 저에게 부탁을 하는거 보면.. 뭐.. 언어란 의미만 통하면 되는거다라는 제 관점이 크게 틀린 것만은 아닌 듯 싶습니다.

JavaDoc 주석 다는 방법, 기본적인 예

여전이 주석이라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이 더 많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소스 코드와 주석을 통해 멋지게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개념은 주석에 대한 부정적인 많은 부분을 불식시키고도 남는듯합니다.

Java로 만든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의 소스를 협업자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주석을 달때 JavaDoc의 도움을 받아 좀더 체계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석법입니다. 간단히 제 스스로 개발할때 참고하여 사용할만한 예제 코드로 정리해 봅니다.

먼저 클래스에 대한 주석의 예입니다.

/**
 * 화면상에 윈도우를 나타내기 위한 클래스
 * 사용 방법:
 *
 *    Window win = new Window(parent);
 *    win.show();
 *
 *
 * @author  Sami Shaio
 * @version 1.0
 * @see     java.awt.BaseWindow
 * @see     java.awt.Button
 */
class Window extends BaseWindow {
   ...
}

다음은 클래스의 필드에 대한 주석의 예입니다.

    /**
     * 컴포넌트의 X 좌표
     *
     * @see #getLocation()
     */
    int x = 1263732;

끝으로 클래스의 매서드에 대한 주석의 예입니다.

    /**
     * 지정된 index에 위치하는 문자 반환. 
     * index의 범위는 0에서 length() - 1까지임.
     *
     * @param     index  얻고자 하는 문자의 인덱스 값
     * @return      지정된 index의 문자
     * @exception StringIndexOutOfRangeException
     *     index가 0에서 length()-1의 범위를 벗어남
     * @see       java.lang.Character#charValue()
     */
    public char charAt(int index) {
       ...
    }

[C#] C++의 multimap 컨테이너

C++의 STL에 multimap이라는 컨테이너가 존재합니다. 이 컨테이너는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구성된 요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key 값으로 정렬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키가 유일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즉 중복될 수 있다는 점인데요. 이러한 C++의 multimap의 성질을 갖는 컨터이너가 C#에는 기본적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해서 이러한 컨터이너를 직접 개발자가 만들어 써야 하는데.. 다행히 C#에서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C#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NET에서는 컬렉션(Collection)이라는 다른 이름을 사용) 중에 List와 SortedDictionary 컬렉션을 조합하여 우리가 원하는 C++의 multimap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렇게 구현한 컬렉션으로 클래스 이름을 .NET의 이름에 맞게 MultiSortedDictionary라고 지었습니다.

class MultiSortedDictionary;
{
    private SortedDictionary dic_ = null;

    public MultiSortedDictionary() 
    {
        dic_ = new SortedDictionary();
    }

    public MultiSortedDictionary(IComparer comparer)
    {
        dic_ = new SortedDictionary(comparer);
    }

    public void Add(Key key, Value value)
    {
        List list = null;

        if(dic_.TryGetValue(key, out list))
        {
            list.Add(value);
        }
        else
        {
            list = new List();
            list.Add(value);
            dic_.Add(key, list);
        }
    }

    public bool ContainsKey(Key key)
    {
        return dic_.ContainsKey(key);
    }

    public List this[Key key]
    {
        get
        {
            List list = null;
            if (!dic_.TryGetValue(key, out list))
            {
                list = new List();
                dic_.Add(key, list);
            }

            return list;
        }
    }

    public IEnumerable keys
    {
        get
        {
            return dic_.Keys;
        }
    }
}

MultiSortedDictionary 클래스의 코드가 그리 길지 않습니다. C#은 이미 매우 잘 만들어진 컬렉션 클래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을 조합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MultiSortedDictionary 클래스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먼저 요소를 추가합니다. 요소의 키는 정수(int)이고 값(value)은 POINT라는 사용자 정의 구조체로 하겠습니다. 먼저 POINT 타입의 구조체는 아래와 같습니다.

struct POINT
{
    public int x;
    public int y;

    public POINT(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String.Format("({0:D},{1:D})", x, y);
    }
}

이제 MuiltiSortedDictionary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몇가지 요소를 추가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ultiSortedDictionary msd_ 
        = new MultiSortedDictionary();

    POINT pt1 = new POINT(100, 100);
    POINT pt2 = new POINT(100, 200);
    POINT pt3 = new POINT(100, 300);
    POINT pt4 = new POINT(100, 100);
    POINT pt5 = new POINT(100, 200);
    POINT pt6 = new POINT(100, 300);

    msd_.Add(30, pt6);
    msd_.Add(20, pt4);
    msd_.Add(10, pt1);
    msd_.Add(10, pt3);
    msd_.Add(20, pt5);
    msd_.Add(10, pt2);

실제로 키에 대해 정렬이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임의로 요소를 추가할때 키의 순서를 정렬되지 않은 키값 순서로 추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키 값이 정렬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Enumerator iter = msd_.keys.GetEnumerator();
iter.Reset();
Console.Write("key list : ");
while(iter.MoveNext()) 
{
    Console.Write(iter.Current + " ");
}
Console.WriteLine();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과를 보면 요소에 대한 키의 순서가 옳바르게 정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염두할 점은 C++의 경우라면 그 결과가 10 10 10 20 20 30 이라는 점입니다.  이제 이렇게 저장된 요소 중에 키가 10인 요소에 대한 값을 얻는 코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List list = msd_[10];
Console.Write("key 10 [ ");
for(int i=0; i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키가 10인 요소에 대한 값이 모두 3개인데, 생각했던 올바른 결과가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에서 .NET을 살펴보면 볼수록 참으로 체계적이고 멋진 언어 그리고 프레임워크라고 생각됩니다.

“OpenGL ES와 M3G를 이용한 모바일 3D 그래픽스” 정오표

이번에 출간된 OpenGL ES와 M3G를 이용한 모바일 3D 그래픽스에 대한 정오표입니다. 역자로써 좀 더 꼼꼼하게 챙기지 못한 점 사과드리고.. 이로 인해 당연히 불편하게 해 드린 독자분에게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 향후에 이 블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바일 3D 그래픽스에 대한 책의 오류 부분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MS Word 2007로 작성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되고.. 혹 프로그램이 없는 분은 이미지를 통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원래 크기로 보실 수 있습니다.

책을 읽다가 오타나 이상한 부분에 대해 질문이 있으면 저에게 메일로 전달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면 그에 대해서 답변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