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OGRE는 Object-Oriented Graphics Rendering Engine의 약자로써, 이미 아시는 분들은 저보다 훨씬 잘아시리라 믿습니다. 3D를 주 테마로 잡고 있는 개인이 운영하는 사이트를 보면 OGRE를 강한 열정을 가지고 분석하고 있는 분들이 많더군요. 하지만 저는 단지 수개월전에 OGRE를 공개소스로써 3D 그래픽 엔진 중 인기순위 1위를 차지하는 라이브러리 정도로만 알고 있었고, 그 당시 한번 컴파일이나 해보자는 마음으로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컴파일을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말았었습니다. 왜 실패했는지 그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제 마음속에 별.. 그다지 OGRE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었지 않았나 싶습니다. 하지만 다행이 이미 컴파일된 데모들을 실행해 볼 수는 있었고, 단지 “좋군..”이 전부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우연이 Direct3D를 전문으로 다루는 어느 개인 블로그에 방문했데, 그 곳에 OGRE를 다루더군요. 또 다시 호기심이 발동한 저는 다시한번 컴파일이나 해볼 요량으로  OGRE의 공식 사이트인 www.ogre3d.org에 방문해 차근 차근 시도를 해보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왠일인지 쉽게 컴파일이 되더군요. 이상하게도 컴파일이 되니 제 마음속에서 이 놈을 깊이 있게 분석해보리라는 강한 욕심이 생겼습니다. 정말입니다. 컴파일 성공이라는 첫걸음이 성공하는 순간, 저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흥분과 욕심이 생기는겁니다!

제가 OGRE에서 얻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많은 3D 그래픽 개발자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는 OGRE를 직접 사용해보고…
  • 최고 수준의 Object-Oriented를 지향한다는 Ogre의 개발자의 이 엔진으로부터 설계방법을  배우며…
  • OpenGL이나 DirectX보다 상위 수준의 API 통해 최신 그래픽 기술을 직접 코딩해 느껴보고, 점차 하위 수준으로 접근해 나간다.

위의 3가지 목적중에 2번째인 설계방법이 가장 큰 목표입니다. OGRE의 첫자인 “O”가 Object-Oriented인 만큼, 또한 OS 독립적이며 OpenGL과 Direct3D를 실행중에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설계방식이 무척 궁금합니다. 물론 제 나름대로의 이러저러하게 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다소 어설픈 아이디어는 있지만, 다른 개발자의 아이디어는 어떨까, 배우고 싶습니다.
위는 Ogre의 핵심 클래스의 관계도입니다. 간단해 보이기는 하지만 다른 부수적인 것들이 붙으면 매우 복잡하겠지요. Ogre를 분석하는 방법은 Ogre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Tutorial과 Demo 소스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하려 합니다. 제 스스로에게 건투를 빕니다.

Memory Leak 검출해 주는 오픈소스

예전에 VC6.0을 사용할때 코딩하고 Debug로 컴파일하면 어느 지점에서 메모리 누수(Leak)가 발생하는지 IDE의 출력창에서 알려주었다. 원래 VC6.0이 그랬는지, 아니면 나도 모르게 뭔가를 설치해서 그랬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말이다. 그런데 VS2003 이후로는 메모리 누수에 대한 보고를 해주지 않는 것이다. 난 한동안 아..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잘했나보다 했는데.. 그게 아니란것을 알고 난후, 메모리 누수를 검출해주는 툴을 찾다가 괜찬은 녀석 둘을 만났다.

http://www.codeproject.com/tools/visualleakdetector.asp
http://www.codeproject.com/tools/leakfinder.asp

간단히 소개를 하면, 첫번째는 라이브러리를 Link해주고 vld.h라는 헤더파일 하면 include 해주면 메모리 누수 검출의 준비가 끝난다. 누수의 결과는 IDE 창에서 해주게 되는데 아래의 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하면 IDE의 출력창에 누수의 지점과 내용을 출력해준다.

#include "vld.h"

int main()
{
    char *pChar = new char[100];

    return 0;
}

이것은 필자가 VS6.0에서 경험했던 바로 그것이였다. 그러나 단점은 프로젝트의 코드생성이 다중스레드DLL이냐, 그냥 다중스레드냐에 따라 다른 라이브러리를 링크해줘야 한다는 것과 CRT 메모리에 대한 누수만을 검출해주며 COM 메모리 누수는 검출해주지 못한다. 즉, COM군의 함수중에 메모리를 할당해주는 CoTaskMemAlloc 함수에 대한 메모리 누수는 검출해주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IDE와 연동되어 IDE의 출력창에서 누수에 대한 정보를 더블클릭하면 누수지점의 코드로 커서가 이동하는 기능은 상당히 매력적이다.

끝으로 두번째는. 하나의 헤더파일과 그에 대한 하나의 소스파일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인데, StackWalker.h 파일을 include 해주고 누수검출 시작과 끝을 지정하는 함수를 호출해줌으로써 메모리 누수 검출의 준비가 끝나게 되어 무척 사용하기가 쉽다. 게다가 CRT 메모리 뿐아니라 COM 메모리에 대한 누수검출까지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 누수에 대한 정보는 3가지로 구분되는데, 간단한 SImple 모드, 좀더 자세한 Advanced 모드, XML 모드이다. 모두 외부 파일을 통해 누수 정보를 개발자에게 Report한다. 하지만 첫번째 소개했던 누수툴과는 달리 IDE와 연동을 지원해주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플렛폼이 Windows라는 범위에만 초점을 맞춰볼적에 비록, 최근의 추세가 Garbage Collection에 의한 자동 메모리 정리 기능이 있어, 메모리 누수에 대한 염려가 많이 줄기는 하였지만, .NET에서 지원하는 C++/CLI는 CLR 메모리만이 아니라, CRT, CLR, Stack 메모리에 까지 접근이 가능하므로 메모리 누수에 대해 주의를 요한다는 점에서 아직까지 이러한 메모리 누수 검출 도구는 유용하다고 하겠다.

[참고] 아래 글의 “줘도 못먹는”에 해당하는 오프소스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