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BlackPoint-Xr, 네트워크를 통한 공간 데이터 서비스

안드로이드(Android) GIS 엔진인 블랙포인트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항공영상이나 수치지도를 받아 지도로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샘플 코드를 정리해 봅니다. 먼저 항공영상에 대한 레이어를 추가한느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Layer aerial = new TileImageLayer(
    "aerial", 
    "http://222.237.78.28:8080/tiles/a", 
    false);

layerMan.addLayer(aerial);

TileImageLayer 클래스의 생성자 함수의 첫번째 인자는 레이어의 식별자이고 두번째는 항공영상지도를 받아올 인터넷 URL입니다. 세번째는 파일에서 항공영상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므로 false를 지정합니다. 다음은 수치지도를 표시하는 코드 예입니다.

ShapeLayer jibun = new ShapeLayer(
    "jibun", 
    "http://222.237.78.28:8080/Xr?layerName=jj");

layerMan.addLayer(jibun);

ShapeLayer 클래스의 생성자 함수의 첫번째 인자는 레이어의 식별자이고 두번째는 수치지도를 받아올 인터넷 URL입니다.

안드로이드 GIS 엔진인 블랙포인트는 공간 데이터를 SD 카드를 통한 로컬 방식과 네트워크를 통해 받아 사용 방식에 대해서 모두 동일한 TileImageLayer와 ShapeLayer를 사용함으로써 라벨이나 속성, 좌표 등의 정보를 얻어오고 사용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다음은 위의 예제에서 추가한 항공영상과 수치지도를 추가한 화면입니다.

[GIS] FingerEyes-Xr, TMS(OSGeo Spec) 지원

핑거아이즈가 OSGeo 스펙인 TMS를 지원합니다. TMS는 타일맵 형태의 맵 서비스로 오픈스트리트, 다음, 네이버, 지오서비스의 지도 서비스에서 따르는 맵 서비스 형태입니다. 핑거아이즈에서  TMS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배경지도를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배경지도를 핑거아이즈에서 레이어로 추가한 화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TMS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Metadata)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 1픽셀에 대한 지도단위 길이
  • 타일맵 이미지 요청 URL
  • MBR(Boundray)
  • 타일맵 이미지 크기(256×256 등)
  • 타일맵 이미지 형식(PNG/JPEG/GIF 등)

다음은 핑거아이즈에서 네이버의 지도를 TMS를 통해 레이어로 추가하는 코드입니다.

var lyr:IXrLayer = new XrTMSLayer(
  "basemap", 
  [
    "http://onetile1.map.naver.net/get/18/0/0/${z}/${x}/${y}/bl_vc_bg/ol_vc_an",
    "http://onetile2.map.naver.net/get/18/0/0/${z}/${x}/${y}/bl_vc_bg/ol_vc_an",
    "http://onetile3.map.naver.net/get/18/0/0/${z}/${x}/${y}/bl_vc_bg/ol_vc_an",
    "http://onetile4.map.naver.net/get/18/0/0/${z}/${x}/${y}/bl_vc_bg/ol_vc_an"
  ],     
  [2048, 1024, 512, 256, 128, 64, 32, 16, 8, 4, 2, 1, 0.5, 0.25],
  new XrExtent(90112, 1192896, 1990673, 2761664)
);
    
map.layers.addLayer(lyr);

참고로 TMS를 지원 사이트에서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면서 metadata가 자주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