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언트에 대한 서버측에서의 에러 응답

자바를 이용하여 웹서버를 내장하는 공간 데이터 서버를 개발하면서.. 클라이언트에서 잘못된 요청에 대해 서버가 가장 적절한 에러 코드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도록.. 다양한 에러 코드에 대해서 클라이언트에서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지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IE 버전 8.0에서 확인을 하였으며… 다른 웹브라우저에서는 비슷하기는 하겠지만 다른 모습으로 표시될 수도 있겠습니다.

BAD_REQUEST Code (HTTP 4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NFLICT Code (HTTP 408 / HTTP 409)
사용자 삽입 이미지
FORBIDDEN Code (HTTP 403)
사용자 삽입 이미지
GONE Code (HTTP 410)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_VERSION_NOT_SUPPORTED Code (HTTP 501 / HTTP 505)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TERNAL_SERVER_ERROR Code (HTTP 5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METHOD_NOT_ALLOWED Code (HTTP 405)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VED_PERMANENTLY Code, MOVED_TEMPORARILY Code,
NO_CONTENT Code, SEE_OTHER Code

사용자 삽입 이미지
NOT_ACCEPTABLE Code (HTTP 406)
사용자 삽입 이미지
NOT_FOUND Code (HTTP 404)
사용자 삽입 이미지
NOT_IMPLEMENTED Code (HTTP 505)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QUEST_TIMEOUT (HTTP 408 / HTTP 40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외에도 다양한 코드가 존재하지만 IE에서는 처리하지 못해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처리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한 코드는 제외하였습니다.

[Java] 파생 클래스가 아니라.. 딱 내 클래스인가?

뭐.. 제목이 저래.. 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분명 계실테고.. 저 역시 뭐 제목이 이래..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먼저 아래와 같은 클래스 계층이 있다고 칩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eometry를 부모로 하는 세개의 자식 클래스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처럼 코딩을 했습니다..

Geometry g = new Rectangle();

이제 이제 g 객체가 Circle이냐.. Rectangle이냐.. 아니면 Triangle이냐.. 아니면.. Geometry이냐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뭐 이런거야.. 자바에는 편리한 instanceof가 있으니 아래처럼 하면되지라며.. 코딩합니다..

Geometry g = new Rectangle();

if(g instanceof Rectangle) {
    System.out.println("Type is Rectangle");
}

if(g instanceof Circle) {
    System.out.println("Type is Circle");
}

if(g instanceof Triangle) {
    System.out.println("Type is Triangle");
}

if(g instanceof Geometry) {
    System.out.println("Type is Geometry");
}

자바를 잘아신다면.. 어.. 이거 아닌데.. 라고 바로 하실테지만.. 저는 단지.. 그냥 냄새가 좀 나는데.. 는 정도였답니다.. 여튼, 실행해보면 2개의 조건문에서 true를 만나게 됩니다.. 3번 코드의 if 문과 15번 코드의 if 문.. 즉 g는 Rectangle이면서 동시에 Geometry 타입입니다.. 당연한 결과이지요.. 하지만 원하는 것은 딱… “나는 나다!”라는 것이죠.. 즉, 위의 경우에는 g는 Geometry가 아니라 Rectangle다! 라는 것을 판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바는 C/C++ 언어가 가지지 못한 강력한 기능이 있습니다.. 실행시간에서의 타입 정보(RTTI)인데요.. 이 RTTI를 위해 자바는 모든 객체에 대해서 자신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우리가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있는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Geometry g = new Rectangle();

if(g.getClass() == Rectangle.class) {
    System.out.println("Type is Rectangle");
}

if(g.getClass() == Circle.class) {
    System.out.println("Type is Circle");
}

if(g.getClass() == Triangle.class) {
    System.out.println("Type is Triangle");
}

if(g.getClass() == Geometry.class) {
    System.out.println("Type is Geometry");
}

이제 정확히.. 오직 3번 코드에 대한 if문에서만 true인, “나는 나다!”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