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에서의 레이아웃을 위한 구세주, Flex

웹의 CSS를 이용해 가로에 대한 가운데 정렬은 그럭저럭 쉽게 지정할 수 있지만, 세로 정렬은 왠지 트릭같은 방식으로 지정하는 느낌을 받는다. 그렇다보니, 세로 정렬이 필요한 레이아웃을 구성할때마다 고충이 생기는데.. 이럴때 flex라는 비교적 최신의 CSS 방식을 활용해 이러한 고충을 제거하고자 이 글을 정리한다. 사실 flex 방식은 그 내용이 제법 방대하다. 하지만 체계적인지라 여러번 살펴보면 충분이 이해하고 실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일단 앞서 언급한 가로와 세로에 대한 가운데 정렬을 위한 flex 방식을 이 글을 통해 간단이 언급해 둔다. 가운데 정렬이 필요할때마다 flex를 사용하다보면.. flex의 그밖의 요소들이 하나씩 접근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기술이란 그 필요에 의해 사용되고, 자연스럽게 사용되어질때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래의 dom 구성에 대한 코드가 있다.

DIP2K
김형준

.container 안에 .item 항목을 가로와 세로로 가운데 정렬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은 스타일을 지정하면 된다.


실제 결과는 아래와 화면처럼 가로와 세로에 대해 가운데로 정렬된 것을 볼 수 있다.

[xyz-ihs snippet=”flex-layout-center-align”]

DIV 요소는 display가 block이다. 그러나 flex의 내부의 항목으로 들어가게 되면 inline-block으로 변경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이 글을 작성하기 위해 읽었던 문서는 “flexbox의 기본 개념”이다.

웹 UI ㅡ Accordion

웹에서 제공하는 표준 UI는 상당히 투박해서 거의 사용하지 않고, jQuery UI 등과 같이 유명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웹 어플을 개발합니다. 그러나 필자는 기존의 웹 UI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는데.. 이유는 내가 원하는 UI의 형태와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상당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어야 하거나, 불가능한 경우라고 포기하며 타협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웹에서 접고 펼치는 Accordion UI가 필요해서, 직접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요. 아래는 그 UI에 대한 샘플 결과 이미지입니다.

뭐, 그닥 이쁘다거나 세련된 모양은 아닙니다. 하지만 UI의 멋은 Content으로 완성된다고 믿는 저에겐 충분합니다. 아래는 위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Javascript 코드입니다.

<div id="div"></div>

<script>
var ui = new XrUI.accordion("div",
    {
        width: "320px",
        height: "400px",
        top: "50px",
        left: "60px",
        title: "어코디언 UI"
    }
);

ui.addItem("item1");
ui.itemTitle("item1").innerHTML = "Title1";
ui.itemContent("item1").innerHTML = "Content1";

ui.addItem("item2")
ui.itemTitle("item2").innerHTML = "Title2";
ui.itemContent("item2").innerHTML = "Content2";

ui.addItem("item3")
ui.itemTitle("item3").innerHTML = "Title3";
ui.itemContent("item3").innerHTML = "Content3";
</script>

어코디언을 구성하는 항목의 제목과 내용을 직접 innerHTML 등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DOM 요소를 노출하고 있는데요. 이 부분이 향후 이 어코디언 UI를 내가 원하는 형태과 내용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통로가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웹 UI는 컴포넌트로써 실제 프로젝트에서 아래와 같은 형태로 초기에 응용되어 활용되었습니다.

기본적이고 단순한 틀은 유지하면서, 최대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UI를 꾸미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기능은 배포후 점진적으로 개선 발전되듯이 UI 역시 편의성 등의 개선을 이유로 변경됩니다. 결국 현재는 아래와 같은 형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