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Service-Xr과 FingerEyes-Xr의 On-The-Fly-Projection 적용하기

다양한 좌표계가 존재하므로, 사용자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공간 데이터마다 서로 다른 좌표계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로 다른 좌표계의 공간 데이터를 DBMS에 Import할때, 좌표계를 명시해 주고, 이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에서는 서로 다른 좌표계를 하나의 기준 좌표계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그래야 레이어로써의 여러개의 지도가 하나의 지도로 중첩됩니다.

GeoService-Xr과 FingerEyes-Xr에서도 서로 다른 좌표계에 대해 동적으로 좌표계를 변환해 단일 좌표계로 변환해 레이어를 중첩해 주는 On-The-Fly-Projection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서버인 GeoService-Xr 과 클라이언트인 FingerEyes-Xr에서 간단한 설정이 필요한데요. 이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먼저 서버인 GeoService-Xr에서는 DBMS에 저장된 공간 데이터를 GeoData라는 단위로 관리하는데, 이 GeoData를 정의하는 xml 파일의 내용에 EPSG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와 같습니다.


    parcel
    muan_db://public."parcel"
    5186



    link
    network://public."link"
    5179

위의 내용은 parcel이라는 GeoData의 좌표계는 EPSG:5186이고, link라는 GeoData의 좌표계는 EPSG:5179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클라이언트 단의 코드인데요. 클라이언트 단에서 공통 좌표로 사용하고자 하는 좌표계를 아래처럼 지정하면 됩니다.

map.EPSG(5186);

위의 코드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에서 사용하는 단일 좌표계는 EPSG:5186으로써, 만약 서버 단에서 이와 다른 좌표계의 데이터가 오면 이를 EPSG:5186으로 변환하도록 합니다. (명확히는 서버단에서 좌표계 변환을 수행함)

아래의 그림은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가지는 parcel(지적도로 EPSG:5186)와 link(네트워크 링크로 EPSG:5179)가 하나의 단일 좌표계(EPSG:5186)으로 변환되어 정확히 그 위치가 일치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회전 제한 및 양방향 성질을 가진 네트워크 DB를 활용한 A* 알고리즘

실제 도로망은 U턴 제한이나 우회전 제한 등과 같은 회전 제한에 대한 성질과 좌측 및 우측 차로에 대한 방향에 대한 성질을 가집니다. 이러한 성질에 대한 속성값을 가지는 네트워크 데이터는 지능형 교통체계 표준 노드링크 관리시스템(http://nodelink.its.go.kr)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지능형 교통체계 표준 노드링크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DB에 대해 A*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각 단계별 과정에 대한 상태정보를 기록한 자료에 대한 글입니다. A*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기존의 최단 경로 탐색 – A* 알고리즘이라는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A* 알고리즘을 확장하고 응용한 글이므로 반드시 A* 알고리즘을 완전하게 이해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의미있게 이해될 수 있는 글이라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해결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DB에서의 최적경로에 대한 문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위의 문제에 대해 확장된 A* 알고리즘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그 결과는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그 결과 도출을 위한 알고리즘의 각 단계를 정리한 내용은 아래의 pdf 파일에 담겨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