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이 인코딩 될때 사용되는 특수문자는 %인데.. 그렇다면 이 문자값으로써 %에 대한 인코딩 결과는 무엇일까?
%25
공간정보시스템 / 3차원 시각화 / 딥러닝 기반 기술 연구소 @지오서비스(GEOSERVICE)
URL이 인코딩 될때 사용되는 특수문자는 %인데.. 그렇다면 이 문자값으로써 %에 대한 인코딩 결과는 무엇일까?
POLYHEDRALSURFACEZ(POLYGONZ((232875.948685483 317148.417911287 73.32,232835.839685483 317146.469911287 73.32,232835.333685483 317156.028911287 73.32,232875.516685483 317158.161911287 73.32,232875.948685483 317148.417911287 73.32)),POLYGONZ((232835.839685483 317146.469911287 56.19,232835.839685483 317146.469911287 73.32,232835.333685483 317156.028911287 56.19)),POLYGONZ((232835.333685483 317156.028911287 56.19,232835.839685483 317146.469911287 73.32,232835.333685483 317156.028911287 73.32)),POLYGONZ((232835.333685483 317156.028911287 56.19,232835.333685483 317156.028911287 73.32,232875.516685483 317158.161911287 56.19)),POLYGONZ((232875.516685483 317158.161911287 56.19,232835.333685483 317156.028911287 73.32,232875.516685483 317158.161911287 73.32)),POLYGONZ((232875.516685483 317158.161911287 56.19,232875.516685483 317158.161911287 73.32,232875.948685483 317148.417911287 56.19)),POLYGONZ((232875.948685483 317148.417911287 56.19,232875.516685483 317158.161911287 73.32,232875.948685483 317148.417911287 73.32)),POLYGONZ((232875.948685483 317148.417911287 56.19,232875.948685483 317148.417911287 73.32,232835.839685483 317146.469911287 56.19)),POLYGONZ((232835.839685483 317146.469911287 56.19,232875.948685483 317148.417911287 73.32,232835.839685483 317146.469911287 73.32)))
위의 데이터를 파싱해서 원하는 정보를 뽑아 내야 하는데.. 이게 XML로 되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며 문자 하나 하나.. 정성스럽게 파싱해 내는 코드를 한땀.. 한땀.. 작성하다보니.. 이 추운 겨울에도 몸이 후끈 후끈 달아 오르는군요..! ㅡ,.ㅡ; 사실 위의 문자열은 일부고.. 좀더 복잡합니다..
예전에 읽고 듣고해서 짐작은 했던.. XML의 효율성은 잘 알고 있었지만.. 정작 퍼포먼스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멀리했더랬는데요.. 위의 데이터를 파싱해 보니.. 피부로 XML의 효율성이 팍.. 팍.. 와닿습니다.. XML.. 니가 진정한 데이터 교환 포맷의 왕이로다!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