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ESRI의 SHP,DBF와 지오서비스의 XrV,XrT의 파일 크기 비교

파일 크기가 작다고해서 효율성이 뛰어나다는 것은 아닙니다. 지오서비스의 Xr 맵엔진이 사용하는 수치지도 포맷인 XrV와 속성데이터 포맷인 XrT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최적화하기 위해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였습니다. 물론 압축은 하지 않습니다. 압축에 대한 트레이드오프가 발생하는데.. 압축을 하면 크기가 줄어 네트워크 전송에 대한 속도를 단축할 수 있지만 압축을 하고 압축을 푸는 시간을 고려하면 이러한 시간 단축에 대한 이점이 상쇄되는지라 압축에 대한 선택은 파일 포맷에서 결정하지 않고 이 파일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의 책임으로 넘겼습니다. ESRI가 처음부터 SHP와 DBF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서비스 기반으로 설계되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크기 최적화가 거의 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그래프는 150MB의 DBF 파일과 100MB의 SHP 파일을 지오서비스의 지도 파일(XrV, XrT)로 변환하여 크기를 서로 비교한 것입니다. 벡터 데이터의 경우 절반정도로 줄었고 속성 데이터의 경우 1/5로 상당히 줄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Xr 맵엔진의 서버를 개발하기에 앞서 서버의 퍼포먼스를 최대화 하기 위해 기반이 되는 데이터를 최적화하는 작업을 하면서 SHP와 DBF 간의 파일 크기면에서 살펴보았습니다.

[GIS] Xr로 만든 지도 이미지 세번째..

오랜만에…. 현재 작업하고 있는 Xr 맵엔진에 대해 소개합니다. 아래의 지도 이미지는 SHP 파일들로 구성된 지도 이미지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래 크기로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지도 이미지는 Xr 맵 엔진으로 만든 BeautifyMap이라는 디자인 툴로 만들어졌습니다. BeautifyMap은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의 지도를 디자인하기 위한 툴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타일의 크기(일반적으로 256×256 픽셀이며 BeautifyMap에서 자유롭게 크기를 지정할 수 있음)의 격자 이미지로 잘라서 지도 서버 FTP에 자동으로 올려주는 툴입니다.

구글이나 네이버 그리고 다음에서 서비스하는 맵에서 볼 수 있는 세련된 지도 스타일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툴입니다. BeautifyMap은  RIA 기술을 이용한 맵 솔루션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 중에 하나입니다. 일정상으로는 이번달까지 마무리하기로 되어 있어 있습니다.

지도 이미지를 살펴보면… SHP 레이어와 색상과 텍스트만으로 꾸며진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여기에 세련된 아이콘 이미지를 사용하면 훨씬 멋진 스타일의 지도가 연출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