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도계산 in ArcGIS

밀도계산의 방식은 Simple 방식과 Kernel 방식이 있습니다. 이 두방식에 대해 ArcGIS에서 처리된 결과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번째는 Kernel 방식이고 두번째가 Simple 방식입니다. Simple 방식은 Kernel 방식에 비해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그 결과는 Kernel에 비해  떨어집니다. 물론 분석 대상이 되는 Point나 Polyline의 개수가 증가할 수록 그 결과의 차이는 줄어들것으로 생각됩니다. XGE에서 밀도계산 기능을 확장단위로 개발하기에 앞서 비교 기준이 되는 결과를 ArcMap에서 살펴봅니다.

밀도 개산의 가장 많은 활용처는 포인트나 폴리라인에 대해 어느 부분에 밀집되어져 있느냐를 시각적으로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이러한 밀도 개산에 의해 생성된 Grid 데이터를 여러개를 동시에 중첩하여 여러개의 인자들에 대한 복합적인 분석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됩니다. XGE에서는 ArcGIS의 밀도 분석은 물론이고 시각적으로 어느 부분이 가장 밀집도가 높으냐라는 판단이 아니라, 정확히 이 부분이 가장 밀집도가 높다라는 “제시”까지 제공할 예정입니다. “제시”는 기본이 되는 밀도개산 기능이 잘 완료가 되면 쉽게 구현할것으로 판단됩니다.

김지원, ‘고액연봉’ 거절하고 MS·구글 애태운 천재의 귀국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창업자 빌 게이츠는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돈을 벌었다. 지난 2000년 서울의 한 소년도 같은 나이에 이미 회원 수 400명이 넘는 하이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동호회를 책임지고 있었다.

[중략,  원문에 모든 내용이 있습니다]

“지능이 평균 이상은 되겠지만 천재라고는 절대 생각지 않아요. 다른 점이라면 뭐든 스스로 답을 찾는 게 습관이 됐을 뿐이죠.” 그는 과학고 입학 후 첫 시험에서 전체 꼴찌를 했다. “그런데 반에서 1등 하던 강남 사는 친구에게 문제의 원리를 물었더니 ‘시험에 나오지 않는다’고 말해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어요. 늘 주어진 대로만 해오던 친구들이라 새로운 상황에선 헤매요.”

반면 그는 “이런저런 연구를 하려면 어떤 강의를 들어야 할까”를 고민했다고 한다. 덕분에 1학년 때부터 미디어 랩 등 MIT의 여러 연구소에서 교수들과 함께 연구를 할 수 있었다. 젊은 영 파워의 미래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주목하는 이들이 너무나 많다.

원문 : http://news.media.daum.net/economic/industry/200711/27/chosun/v1900334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