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로 받은 항공우편 AdSense 계정정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몇년전에 시작했던 구글의 에드센스를 다시 재개했습니다. 예전 계정을 이용해 3년만에 다시 시작을 하려니 무슨 PIN 번호를 입력하라고 하더군요. 입력을 하지 않으니 공익광고만 뜨구요. 해서 신청을 했더랬습니다.

한 10일 조금 넘으니 사무실에 도착해 있더군요. 퇴근길에 우편함에서 발견했는데.. 다시 곧장 사무실에 들려 PIN 입력했더랬습니다. 그런데 여전이 공익광고… -_-;

오늘 아침에 출근해 보니 공익광고가 더 이상 뜨지 않네요. 아.. 좋습니다. 요즘 여러가지로 제정부담을 줄일 목적으로 다시 시작한 구글 에드센스. 최소한 블로그 유지비는 나올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하튼… 이렇게 미국으로부터 항국우편을 받으니.. 국가가의 경계가 부담스럽지 않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가끔 와이프가 회사에서 외국 고객들에게 보낼 글귀를 영작해 달라고 압박을 넣습니다. 개발자가 열심히 코딩하고 있는데 갑작이 문서 작업 시킬때의 상황인거죠.. -_-a

영작을 잘하는 것은 아니지만, 뭐.. 의미만 통하면 되지 않겠냐라는 마음으로 작성해 보내줍니다. 사실… 인터넷상에서 도움을 받을 만한 수단은 총동원해서 최대한 문법에 맞게 작성해서 보내주려 노력합니다만… 수십차례 이렇게 와이프에게 도움을 줬음에도 별탈이 없이 계속 저에게 부탁을 하는거 보면.. 뭐.. 언어란 의미만 통하면 되는거다라는 제 관점이 크게 틀린 것만은 아닌 듯 싶습니다.

JavaDoc 주석 다는 방법, 기본적인 예

여전이 주석이라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이 더 많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소스 코드와 주석을 통해 멋지게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개념은 주석에 대한 부정적인 많은 부분을 불식시키고도 남는듯합니다.

Java로 만든 어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의 소스를 협업자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주석을 달때 JavaDoc의 도움을 받아 좀더 체계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석법입니다. 간단히 제 스스로 개발할때 참고하여 사용할만한 예제 코드로 정리해 봅니다.

먼저 클래스에 대한 주석의 예입니다.

/**
 * 화면상에 윈도우를 나타내기 위한 클래스
 * 사용 방법:
 *
 *    Window win = new Window(parent);
 *    win.show();
 *
 *
 * @author  Sami Shaio
 * @version 1.0
 * @see     java.awt.BaseWindow
 * @see     java.awt.Button
 */
class Window extends BaseWindow {
   ...
}

다음은 클래스의 필드에 대한 주석의 예입니다.

    /**
     * 컴포넌트의 X 좌표
     *
     * @see #getLocation()
     */
    int x = 1263732;

끝으로 클래스의 매서드에 대한 주석의 예입니다.

    /**
     * 지정된 index에 위치하는 문자 반환. 
     * index의 범위는 0에서 length() - 1까지임.
     *
     * @param     index  얻고자 하는 문자의 인덱스 값
     * @return      지정된 index의 문자
     * @exception StringIndexOutOfRangeException
     *     index가 0에서 length()-1의 범위를 벗어남
     * @see       java.lang.Character#charValue()
     */
    public char charAt(int index) {
       ...
    }